오바마가 없앤 ‘학생 체력장’, 트럼프가 13년 만에 부활시켜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user_073838_688d41ee41a55.pn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통령 체력검정(Presidential Fitness Test·이하 체력장)’을 부활시키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이로써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2012년 폐지됐던 체력장이 13년 만에 다시 도입된다.

서명식에는 골프 선수 브라이슨 디섐보, 여자 골프 레전드 안니카 소렌스탐, 프로레슬링 스타 트리플 H 등 미국을 대표하는 스포츠 스타들이 함께 자리해 눈길을 끌었다.

미국의 대통령 체력장은 1956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 시절 처음 도입됐다. 당시 2차 세계대전 연합군 총사령관 출신이었던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국민 체력 증진을 국방력 강화와 직결된 국가적 과제로 인식했다. 체력장 기준은 엄격했다. 팔굽혀펴기 40회, 턱걸이 10회, 1마일(약 1.6km) 달리기를 6분 30초 내에 완주해야 합격점을 받을 수 있었다. 체력 우수자에게는 대통령 명의의 상장도 수여됐다.

하지만 2012년 오바마 행정부는 체력장이 학생 간 불필요한 비교와 경쟁을 유발하며, 체력이나 운동신경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수치심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폐지하고, 개인별 신체 조건을 고려한 '대통령 청소년 건강 프로그램(Presidential Youth Fitness Program)'으로 대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체력장 부활 배경에 대해 “2026년 미국 건국 250주년을 기념하며, 스포츠 강국으로서의 미국의 위상을 재확인하는 계기”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2026년 캐나다·멕시코와 공동 개최하는 FIFA 월드컵과 2028년 LA 올림픽을 앞두고, 모든 세대의 미국인들에게 새로운 영감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권위주의적 국위선양’의 색채를 띄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실제로 러시아에서는 1931년 스탈린 독재 시절 도입됐던 체력장이 소련 붕괴 후 사라졌다가, 2014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노동과 국방을 위한 준비(GTO)’라는 이름으로 부활시킨 바 있다. 북한도 1950년대부터 인민체력검정을 시행하고 있으며, 한국 또한 1972년 박정희 대통령 시절 체력장을 도입해 한동안 대입 시험에까지 반영했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 명령으로 미국 초·중·고교 현장에선 다시금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체력장 부활이 학생들의 체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로 이어질지, 아니면 불필요한 경쟁과 부담만 가중시킬지는 앞으로 교육 현장의 목소리에 달려 있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